도슐랭스타

라우팅 본문

네트워크

라우팅

도도.__. 2024. 1. 15. 16:39

라우팅(routing)

  • 경로 결정을 하는 과정이다.
  • 네트워크를 통해서 패킷을 종착지(end node) 간 전달하기 위한 기능이다.
  • 최적의 경로 설정을 위해 인접 라우터 간 데이터를 공유한다.
  • 기능
    • 경로 설정
    • 트래픽 경로 제어
    • 네트워크 영역 분리


정적 라우팅과 동적 라우팅

정적 라우팅

  • 사용자가 라우팅정보를 입력하여 직접 경로를 설정한다.
  • 라우터의 직접적인 처리 부하가 감소한다.
  • 환경변화가 적은 환경에 적합하다.
  • ex. Floating Static Routing(Flooding) : 해당 패킷이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노드에게 도달될 때까지 계속 함.

동적 라우팅

  • 자동으로 경로를 설정한다.
  • 이웃하는 라우터 간 정보를 공유한다.
  • 네트워크 환경변화에 능동적이다.
  • 상황에 따른 능동적 대처가 가능하다.
  • ex. Distance Vector Routing, Linked State Routing

IGP와 EGP

AS

  • Autonomius System, 자율 시스템
  • 한 회사나 단체에서 관리하는 라우터 집단이다.
  • AS Number(망식별번호) : 각각의 자율 시스템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숫자.

IGP

  •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 동일 그룹 내에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한다.

EGP

  • Ex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 다른(외부) 그룹과의 라우팅 정보를 교환한다.

Distance Vector(DV)와 Link State

Distance Vector

  • 경로 결정 시 통과하는 라우터의 수가 적은 쪽으로 경로를 선택한다.
  • 홉 카운터(Hop Counter) 또는 TTL(Time To Live)를 적용한다.
  • ex. RIP, IGRP, EIGRP(Hybrid Routing), BGP

Link State

  •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경로를 선택한다.
  • ex. OSPF, IS-IS

RIP와 OSPF

RIP

  •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라우터 간 거리 계산을 위한 척도로 홉 카우터(Hop Counter)를 사용한다.(적은 홉 수의 경로 선택)
  • 최대 홉이 15를 넘지 못한다.(16부터는 폐기)
  • 30초 단위로 주변 라우터에게 브로드캐스트한다.
    • UDP 기반으로 전달한다.

OSPF

  • Open Shortest Path First
  • Dijkstra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 라우터들을 트리 형태의 자료 구조처럼 연결하고 라우터 간 정보를 공유한다.
    • 라우팅 정보를 지역(area)으로 구분하여 전송한다.-> 성능 저하를 예방한다.
  • 최단 경로를 위한 트리의 구조는 라우터마다 다르다.
  •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사용한다.
반응형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우터 명령어 정리  (0) 2024.01.31
UDP  (0) 2024.01.11
TCP  (0) 2024.01.08
IGMP  (0) 2024.01.04
ICMP  (1) 2024.01.0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