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ython (4)
도슐랭스타
컨테이너 자료형 컨테이너 자료형 : 데이터 집합체 여러 데이터를 묶어서 저장하고 관리할 때 사용한다. 상위 개념으로 데이터들을 묶을 때 사용한다. ex) 과일=복숭아,사과 / 필기구=연필,지우개 list(리스트), tuple(튜플), dictionary(딕셔너리)가 있다. list(리스트) 같은 유형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나열할 때 사용하고 메모리의 연속된 공간에 순서대로 저장된다. 리스트는 어떤 자료형도 같이 묶을 수 있다. 데이터가 없는 리스트도 존재한다. 리스트 선언 대괄호([ ])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묶으며 데이터와 데이터는 쉼표(,)로 구분한다. fruits = ['복숭아', '바나나', '사과'] #리스트 선언 print(fruits) #리스트 출력--> ['복숭아', '바나나', '사과'] ..

조건문 - if,else,elif if문 if 조건식 : 조건식이 참이면 실행함 num = 15 if (num > 10): print("num은 10보다 크다. ") #조건식이 참이면 실행되는 실행문 #출력->num은 10보다 크다. else문 else: if문이 성립하지 않는 모든 경우에 실행함 num = 5 if (num > 10): print("num은 10보다 크다. ") else: print("num은 10보다 작거나 같다. ") #출력->num은 10보다 작거나 같다. elif문 elif 조건식: elif = else if = ' 그렇지 않고 ~라면 ' if문 거짓일 때 또 다른 조건문의 참, 거짓을 판별하고 실행됨 score = 85 if (score >= 90): print("A") eli..
input() 함수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사용하는 함수 무조건 '문자열'로 저장된다 ( 다른 자료형으로 저장하고 싶으면 자료형 변환(= type() 함수)을 해야함! ) data = input("당신의 이름은? ") #이름을 입력하면 data에 문자열로 저장됨 num = int(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 #입력한 숫자가 num에 정수형으로 저장됨 연산자의 종류 산술 연산자 : 산술 연산을 한다 (+, -, *, /, //, %, **) 할당 연산자 : 오른쪽 값을 연산하여 왼쪽에 대입한다 (=, +=, -=, *=. /=, //=, %=, **=) 비교 연산자 : 크고 작음을 연산한다 (>, >=, 에러 발생 ) 곱셈 " * " 문자열 * 양의 정수 = 곱한 숫자만큼 문자열 반복 ..
print()함수 데이터를 출력하는 함수! () 안에 출력을 원하는 데이터 입력 자료형의 종류 문자형(string) ' ' 나 " " 를 이용하여 입력( 구분X ) print("Hello World") print('안녕~') 정수형(integer, int) : 소수점X 숫자 print(123) 실수형(float, double) : 소수점O 숫자 print(3.14) 논리형(boolean) : 참과 거짓 출력 print(10>5) #출력-> True print(1>2) #출력-> False ※파이썬에서 주석은 " # "을 사용한다 print("100") print(100) 위의 두 print문은 똑같이 100을 출력하지만 다르다! 첫 번째는 문자형 100이고 두 번째는 정수형 100이다. 데이터의 자료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