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슐랭스타
AWS - 클라우드 기초 본문
클라우드 기초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 클라우드 컴퓨팅: 공유 가능한 컴퓨팅 리소스(네트워크, 서버,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어디서나 간편하게 접근할 수 있는 모델 (NIST 정의).
- 비유: 클라우드는 그릇, 그릇에 담긴 음식은 AI, IoT, 로봇 등의 서비스.
- 특징
- 개인 그릇, 공용 그릇(public/private) 구별.
- 여러 서비스를 담을 수 있음 (multi/hybrid cloud).
- 다른 그릇의 소스 찍먹 가능(상호운용성).
정보 처리 시스템의 발전
- 메인프레임(1970-80년대):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가 메인프레임에서 집중 처리.
- 클라이언트 서버(1990년대):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처리 기능 탑재.
- 웹 기반 네트워크 컴퓨팅(2000년대): 고성능 PC와 인터넷을 통한 분산 환경 → 서버 중심 컴퓨팅.
- 클라우드 컴퓨팅(2010년대): 가상화 기술 등장, 필요한 만큼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음.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징
- 주문형 셀프 서비스(사용자가 필요한 리소스 언제나 요청&사용 가능, 사업자와 상호작용X)
- 광범위한 네트워크 접속(다양한 디바이스로 접속)
- 리소스 공유
- 신속한 확장성
- 측정 가능한 서비스(서비스 이용한 만큼 요금 부과)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 SaaS (Software as a Service):
- 서버를 여러 기업이 공유하는 멀티 테넌트 방식.
- 다양한 기기로 접속 가능.
- 예: Google Workspace.
- PaaS (Platform as a Service):
-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개발 환경을 서비스로 제공.
- 서버 및 미들웨어의 상세 설정 불가.
- 예: 쿠버네티스.
-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컴퓨팅 리소스(CPU, 하드웨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
- 자원 스케일 업/다운 가능.
- 예: Amazon EC2.
클라우드 이용 모델
- 퍼블릭 클라우드: 클라우드 사업자가 시스템을 구축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서비스 제공.
- 프라이빗 클라우드: 전용 데이터 센터 환경 구축, 보안이 용이.
- 온프레미스 프라이빗 클라우드: 자사 전용 클라우드.
- 호스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클라우드 사업자가 제공하는 전용 클라우드.
- 커뮤니티 클라우드: 유사 목적의 기업들이 공동으로 운영.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클라우드 서비스와 온프레미스를 연계하여 활용.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비교
- 온프레미스: 자체 시스템 구축, HW/SW 조달 비용이 큼.
- 클라우드: 유연하게 서버 자원을 사용, 초기 비용 부담이 적음.
클라우드 서비스의 책임 분계선
- 책임 분담: 클라우드 사업자와 사용자 간 책임 분담 명확히 해야 함.
- 지원 체계: 24시간 365일 지원 가능 여부 중요.
반응형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 권한관리 시스템 (2) | 2024.11.11 |
---|---|
AWS - 클라우드 스토리지 (0) | 2024.11.04 |
AWS - 클라우드 기술의 이해 (6) | 2024.10.28 |
AWS -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 기타 용어 (4) | 2024.10.2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