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슐랭스타
AWS - 클라우드 기술의 이해 본문
클라우드 기술의 이해 – 물리서버 & 가상서버
- 물리서버
- CPU, GPU, RAM, SSD, HDD
- 데이터 센터를 구성
- 운영체제, 웹서버, DBMS
- 가상서버
- 컴퓨팅 리소스를 소프트웨어로 구현
- Software-defined, Resource-pool, Hypervisor, Tenancy, On-demand, IaC, CI/CD, DevOps 등
- AWS는 사용자가 선택한 스레드 수를 vCPU라는 단위로 제공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 온프레미스(On-premise)
- 전통적인 데이터센터 환경에 적합한 설계 및 구성
- 자체 데이터센터
- 애플리케이션의 최적화, 클라우드 네이티브와 비교되는 개념
- 클라우드 사용 이유
- 데이터센터 운영에 많은 자원, 인력, 지용 소모
- 글로벌 서비스를 위해 변동성에 대한 신속한 대응 필요 (예: BTS 신곡 발표)
- 클라우드 컴퓨팅은 탄력성(Elasticity) 우수
-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해 인프라, 전문인력, 운영 노하우 필요
- IT 인프라의 전부 혹은 일부를 AWS 등의 클라우드 사업자에게 맡김
- 최근 기업들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형태로, (자체 데이터 센터) 5: (클라우드) 5로 운영
클라우드 4대 배포 모델
- 퍼블릭 클라우드
- 누구에게나 회원 가입하면 사용 가능
- AWS, Azure, GCP
- 프라이빗 클라우드
- 기업 또는 기관 전용의 클라우드
- OpenStack, CloudStack
- 커뮤니티 클라우드
- 특정 산업 또는 특정 업무 종사자의 수요에 집중하는 클라우드
- 고객관계관리(CRM) 및 마케팅 특화 Salesforce, 글로벌 해운 선사 Maersk, IBM 해운 산업 클라우드 TradeLens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퍼블릭과 프라이빗 클라우드 병용
- 국내외 주요 기업 및 기관이 대부분 채택
클라우드 5대 특성
- 온디맨드 셀프 서비스
- 사용자가 직접 자신이 필요한 리소스를 프로비저닝
- 광대역 네트워크 접속
- 초고속 인터넷, 5G 등 무선 인터넷으로 리소스에 접속
- 멀티 태넌시, 리소스 풀링
- 하나의 동일한 물리적 리소스를 여러 고객이 공유
- 탄력성 및 확장성
- 필요시 자원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추가하거나 제거 (EC2 Autoscaling)
- 사용량 모니터링
- 리소스 사용량을 정확하게 측정 및 과금 (초 단위로 측정 가능)
클라우드 3대 서비스 유형
- IaaS (서비스형 인프라)
-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인프라 제공
- Amazon EC2
- PaaS (서비스형 플랫폼)
- 사용자는 인프라 부담 없이 오직 애플리케이션 배포 및 관리에 집중
- Elastic Beanstalk
- 애플리케이션을 업로드만 하면 용량 프로비저닝, 로드 밸런싱, 조정, 애플리케이션 상태 모니터링 등 자동처리
- SaaS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 Amazon SageMaker, Rekognition 등 머신러닝 및 딥러닝 서비스
클라우드 도입 이유
- 자본적 비용 절감
- 클라우드 이용시 설비 투자 비용 감소
- 규모의 경제(비용 효율성 증대)
- 적정 용량 예측 불필요
- 변동성 높은 산업군은 서버 예측이 어려움
- 비즈니스 민첩성 향상
- 수요가 급증할 때 인프라 늘려 수익 확보, 수요 급감 시 인프라 줄여 비용 절감
- 데이터 센터 증설 및 운영 부담 감소
- 전문가의 역량, 법률적 제약조건 해결 필요
- 글로벌 수요 증가에 대응
- 즉시 인프라 배포 가능
AWS 클라우드 활용
- 정교하고 확장성 높은 애플리케이션 구현
- AWS의 IT 리소스로 애플리케이션 구현, 정교한 API 요청 처리
- 다양한 산업군의 IT 인프라, 리소스 니즈에 대응
- 트래픽 급등락에 따른 리소스 자동 증감
- 기업용 IT 서비스, 백업 및 스토리지, 빅 데이터 분석
- 신뢰성, 가용성
- 글로벌 고객에게 웹 서비스, 모바일 앱 서비스 제공
- AWS 글로벌 인프라를 통해 거의 즉각적으로 글로벌 레벨에 확장 가능
- 글로벌 게임 및 콘텐츠 서비스 개발 및 운영
AWS 글로벌 인프라
- 리전(Region)
- 데이터 센터 클러스터, AWS의 글로벌 인프라 최상위 개념
- 지리적 위치(서울, 도쿄, 오사카)
- 최소한 2개 이상의 가용 영역(AZ)로 구성
- 가용영역(Availability Zone, AZ)
- 리전 내 데이터 센터 그룹
- 필수 인프라(전력, 네트워크 등)을 중복 구현
- 다수의 가용 영역(멀티 AZ)은 서비스의 고가용성, 내결함성, 고확장성을 구현
엣지 로케이션(Edge Location)
-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서비스
- 고객과 가까운 위치에 콘텐츠 사본을 캐시
- CloudFront : 전 세계 엣지 로케이션을 통해 데이터,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API를 짧은 시간에 전달
- Route53 : 짧은 지연 시간 처리되는 DNS 서비스
기타
- 로컬 영역
- 일부 AWS 서비스를 최종 사용자 및 워크로드에 더 가깝게 배치하는 인프라 배포 유형
- Wavelength
- 모바일 엣지 컴퓨팅 인프라로서 5G 네트워크 기반의 광대역폭 연결 제공
- Outposts
- 온프레미스에서 AWS 인프라 및 서비스 실행
- 제체 데이터 센터에서 동작하는 소형 리전 구축
공동 책임 모델
- AWS의 책임 : AWS 클라우드 운영과 관련된 HW, SW, 네트워킹, 시설 등 인프라
- 고객의 책임 : AWS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입출력되는 데이터, 보안과 실행 환경 구성
AWS Trusted Advisor – 성능 보안의 최적화
- AWS 환경을 최적화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성능을 향상하며, 보안을 개선하도록 지원하는 온라인 리소스
- AWS 모범 사례 기준의 권장 사항 제시
- 무료 및 유료 검사를 통해 계정 보안, 비용 등에 대한 가이드 제공
AWS Support Plan
1. AWS Support Plan 계층
- Basic > Developer > Business > Enterprise On-Ramp > Enterprise
2. AWS 기본 Support 플랜
- Basic
- 무료 제공, 모든 AWS 고객 대상
- 365일 24시간 기술 지원, AWS 리소스 액세스 지원
- Developer
- 유료 제공, 실시간 지침 및 빠른 해결책
- AWS에서 실험 중이거나 테스트하는 경우 권장
- AWS Trusted Advisor 모범 사례 확인에서 7개의 핵심 확인에만 액세스
3. AWS 고급 Support 플랜
- Business
- 인프라 및 서비스의 최적 사용 전략 제시
- 사용 사례별 아키텍처 지침 제공
- Enterprise On-Ramp
- 프로덕션 및 비즈니스 크리티컬 워크로드 권장
- Enterprise
- 자습형 실습 온라인 교육 액세스 제공
- 타사 소프트웨어와의 AWS 상호운용성 지침 제공
4. 클라우드 지원 엔지니어 연중무휴 24시간 전화, 웹 및 채팅 액세스
- Business, Enterprise On-Ramp, Enterprise 플랜에서 지원
- Developer 플랜은 지원되지 않음
5. AWS Support API 지원
- Business, Enterprise On-Ramp, Enterprise 플랜에서 지원
- Developer 플랜은 지원되지 않음
AWS Marketplace
- AWS 고객이 소프트웨어를 찾고 구매하여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상점
- Buyer(구매자), Seller(판매자)
- 제품 유형:
- AMI 기반 제품
- 컨테이너 기반 제품
- 기계학습 제품
- SaaS 기반 제품
- 전문 서비스 제품
- 데이터 제품
- BYOL(Bring Your Own License): 기존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클라우드로 가져오는 모델
CloudTrail - 활동 및 API 사용 추적
- AWS 계정의 거버넌스, 규정 준수, 운영 감사, 위험 감사를 지원하는 서비스
- 3가지 이벤트 유형:
- 관리 이벤트: 리소스에 대한 컨트롤 플레인 작업 기록
- 데이터 이벤트: 리소스 내 데이터 영역 작업 기록
- Insights 이벤트: 비정상적 활동을 식별하는 이벤트
AWS 계정
- 계정 생성: 이메일 주소, 암호, 연락처, 신용카드
- root 사용자: 모든 권한이 있는 사용자, 결제 및 보안 책임
- IAM 사용자: 서비스만 사용하는 사용자
- 보안 강화: MFA(Multi-Factor Authentication) 사용 권장
AWS 프리티어
- 프리티어(free-tier): 100개 이상의 제품 사용 가능
- 무료 평가판: 단기 평가판
- 12개월 무료: 신규 고객, 가입일로부터 12개월 동안 유효
- 언제나 무료: 기존, 신규 고객 모두에게 제공
CloudWatch – 리소스 및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 AWS 리소스 및 애플리케이션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 기능:
- 지표 수집 및 추적
- 로그 파일 모니터링
- 알람 설정 및 리소스 변경에 자동으로 대응
주요 AWS 서비스 요약
1. 컴퓨팅
- EC2: 가상서버
- 람다: 이벤트 기반 컴퓨팅 서비스
- ECS: 도커 컨테이너 서비스
- Lightsail: 완전 관리형 가상 서버 서비스
- Beanstalk: EC2 설정 지원 서비스
2. 스토리지
- S3: 안정성, 보안이 완벽한 스토리지
- Glacier: 사용 빈도 낮은 데이터 저장
- Storage Gateway: 온프레미스와 AWS 연결
- EBS: EC2와 연결 가능한 저장 장치
3. 데이터베이스
- RDS: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6개 지원)
- DynamoDB: No-SQL 기반의 완전 관리형 데이터베이스
- ElastiCache: 인메모리 데이터 처리
- Red Shift: SQL 데이터 웨어하우스
4. 네트워크
- VPC: 가상 네트워크 망 구축 지원
- Route53: DNS 서비스
- CloudFront: 콘텐츠 배포(CDN)
5. 데이터 분석
- QuicffkSight: 데이터 시각화 서비스
- Athena: 서버리스 SQL 쿼리 서비스
- CloudSearch: 완전 관리형 검색 서비스
- EMR: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하둡)
- Kinesis: 실시간 데이터 처리 서비스
6. 인공지능
- 폴리(polly): 음성 합성 서비스
- 렉스(Lex): 대화형 챗봇 서비스
- 레코그니션(Rekognition): 이미지 인식 서비스
7. 개발자 도구
- CodeBuild: 원격 빌드 서비스
- CodeCommit: 사설 Git 저장소 서비스
- CodeDeploy: 애플리케이션 자동 배포 서비스
- CodePipeline: 코드 커밋부터 배포까지 자동화
AWS 대표 서비스 (중요)
1. 컴퓨팅
- Amazon EC2: 가상 서버
- Lambda: 이벤트 기반 컴퓨팅 서비스
2. 네트워킹 및 콘텐츠 전송
- VPC: 가상 사설 네트워크
- CloudFront: 콘텐츠 배포 네트워크(CDN)
- Route 53: DNS 서비스
3. 스토리지
- S3: 객체 스토리지
- EBS: 블록 스토리지
4. 데이터베이스
- RDS: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 DynamoDB: NoSQL 데이터베이스
5. 보안 및 액세스 관리
- IAM: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멀티 팩터 인증 (MFA)
- MFA: 로그인 보안을 강화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하드웨어 디바이스
- MFA 장치:
- 지문, 얼굴 인식
- Google Authenticator
- USB 포트에 연결된 MFA 장치
- TOTP(시간 기반 OTP)
- Amazon Cognito: ID 및 액세스 관리 서비스, MFA 제공
반응형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 권한관리 시스템 (2) | 2024.11.11 |
---|---|
AWS - 클라우드 스토리지 (0) | 2024.11.04 |
AWS -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 기타 용어 (4) | 2024.10.21 |
AWS - 클라우드 기초 (1) | 2024.10.1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