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슐랭스타
정보통신(3)-전송 방식와 캐스팅 방식 본문
전송 방식
1. 직렬 전송
- 전송선로가 1개이다.
-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 대부분이 사용한다.
- 비용이 적게 든다.
- 설치가 간단하고 장거리 통신에 많이 사용된다.
2. 병렬 전송
- 여러 개의 전송로(또는 채널)이 있다.
- 한 번에 기본 단위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 상대적으로 근거리 통신에 사용한다.
- 시스템의 버스(FSB, BSB)에서 많이 사용한다.
FSB(Front-Side Bus) : CPU 외부 버스
BSB(Back-Side Bus) : CPU 내부 버스 - 가격이 비싸다.
3. 비동기 전송
- 비정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 송신할 데이터가 있을 때 전송한다.
- 주로 이벤트 데이터 전송에 활용된다.
- ex. 키보드 입력, 마우스 입력
4. 동기 전송
- 정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 시간을 분배하여 할당된 시간에만 데이터를 전송한다.
캐스팅 방식
1. 유니캐스트(Unicast)
- 송신노드 하나가 수신노드 하나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1:1 통신)
- TCP/IP의 클라이언트(Client)-서버(Server) 모델의 기반이 된다.
- 보내야할 수량이 많아지면 그만큼 네트워크 부하가 커진다.(같은 데이터를 100번 보내야할 수 있음.)
2. 브로드캐스트(Broadcast)
- 하나의 송신노드가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수신 가능한 모든 노드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1:N 통신)
- 동일한 네트워크의 영역 라우터(router)에 의해 정의된다.
- 데이터의 포워딩(forwarding)도 관리된다.
- 모든 노드에 전송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데이터 수신이 생길 수 있으며 이것은 전체적인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3. 멀티캐스트(Multicast)
- 유니캐스트와 브로드캐스트를 합친듯한 개념이다.
- 송신노드가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노드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1:N 통신)
- 라우터나 스위치에 의해서 해당 특정 노드들에게 데이터를 전달한다.
4. 애니캐스트(Anycast)
- 송신 노드가 하나의 특정 노드에만 데이터를 전송한다. (1:N 통신이지만 멀티캐스트와의 차이점)
- 유니캐스트는 1:1 통신으로 한 대의 송수신자 간에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반면, 애니캐스트는 1:N 통신으로 다수의 수신 가능한 서버 중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는 하나의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 멀티캐스트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가용성을 높이기 위한 캐스팅 방식이다.
-트래픽 전달 과정에서 장애물이 발생하면 백업이 가능하다. - 라우팅 기법에서 많이 사용한다.
유니캐스트 | 브로드캐스트 | 멀티캐스트 | 애니캐스트 | |
통신방식 | 1:1 | 1:N | 1:N | 1:N |
수신자 수 | 단일 | 모든 호스트 | 그룹 내 | 가장 가까운 |

반응형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0) | 2023.10.03 |
---|---|
부호화와 변조 (0) | 2023.10.02 |
MAC 주소와 IP 주소 (2) | 2023.10.01 |
정보통신(2)-정보 전송 시스템 (0) | 2023.09.29 |
정보통신(1)-기본 개념 (0) | 2023.09.28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