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슐랭스타
부호화와 변조 본문
부호화
-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 전송할 데이터를 매체 내 전달 신호로 변환하는 것.
- 부호 : 정보를 1byte의 2진수로 표현하는 것.
- 부호체계
- 문자는 대부분 ASCII 규격을 많이 쓴다.
- 기타 수는 각 수 체계별 자료구조를 기반으로 한 비트로 표시한다.
변조 방식
1. 디지털 전송 방식
- 직류 전송 방식이라고도 한다.
- 아날로그, 디지털 정보 -> 부호기(변환!) -> 디지털 전송 신호
- 복호기로 다시 원래 정보로 변환한다.
2. 아날로그 전송 방식
- 교류 전송 방식이라고도 한다.
- 아날로그, 디지털 정보 -> 변조기(변환!) -> 아날로그 전송 신호
- 복조기로 다시 원래 정보로 변환한다.
디지털 전송
- 디지털 -> 디지털 : 베이스밴드(Base band) or 기저 대역 전송
- 아날로그 -> 디지털 : PCM(Pulse Code Modulation : 펄스 부호 변조)
아날로그 전송
- 디지털 -> 아날로그 : 브로드밴드(Broad band) or 광대역 전송
- 아날로그 -> 아날로그 : 아날로그 변조
지지배 = 디 -> 디 = 베
아디피 = 아 -> 디 = P
디아블로 = 디 -> 아 = 브로
아아아 = 아 -> 아 = 아
베이스밴드(Base band)
- 변조하지 않고 그대로 보낸다. => 단순하고 설치가 용이하다.
- 근거리 통신에 적합하다.
- 단점 : 잡음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 정보가 손실될 수 있다.
- 활용 : Ethernet, 버스, 토큰링
브로드밴드(Broad band)
- 하나의 전송매체가 여러 개의 채널로 나눠서 전송이 가능하다. => 동시에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 변조가 필요하고 최종 단말은 복조가 필요하다.
- 장거리 데이터 전송에 유리하다.
- 단점 : 복잡한 기술로 설치비가 비싸다.
- 활용 : B-ISDN , 케이블 TV
반응형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신회선망-토폴로지 (0) | 2023.10.05 |
---|---|
네트워크 (0) | 2023.10.03 |
MAC 주소와 IP 주소 (2) | 2023.10.01 |
정보통신(3)-전송 방식와 캐스팅 방식 (0) | 2023.09.30 |
정보통신(2)-정보 전송 시스템 (0) | 2023.09.29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