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슐랭스타
교환망 본문
1.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 통신 회선을 설정하여 직접 데이터를 교환한다.
-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다
- 음성 전화 시스템에 사용한다.
- 송신자의 메세지는 같은 경로로 전달한다.
- 안전한 통신을 제공한다.
- 포인트 투 포인트(Point to Point) 방식이다.
- 장점
-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에 유리하다.
- 고정적인 대역폭(bandwidth)을 사용한다.
- 아날로그나 디지털 데이터를 직접 전달한다.
- 연속적인 전송에 적합하다.(전용라인이라 데이터가 손상될 확률이 적다.)
- 단점
- 많이 사용하지 않으면 이용률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 통신 비용이 비싸다.
2.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 패킷을 여러 경로로 공유한다.
- 가상회선(TCP), 데이터그램(UDP) 교환 채널을 사용한다.(가상의)
- 패킷마다 최선의 경로를 설정해서 전달한다.(라우팅)
- 장점
- 회선의 이용률이 높다.
- 회선에 장애가 생겨도 우회 전송을 할 수 있어서 신뢰성이 높다.
- 단점
-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예상 불가)
- 패킷별 헤더(오류 제어) 추가로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
3. 메세지 교환(Message Switching)
- 송신된 메세지를 중간 노드가 계속 축적된다.
- 적정량 or 시간 후에 한 방에 전달한다.
- 수신된 메세지들의 우선순위 결정이 가능하다.
- 단점
- 응답 속도가 느리다.
- 대화형 시스템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반응형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주소와 Port 번호 (0) | 2023.10.08 |
---|---|
근거리 통신(LAN)-CSMA/CD/CA (0) | 2023.10.07 |
통신회선망-토폴로지 (0) | 2023.10.05 |
네트워크 (0) | 2023.10.03 |
부호화와 변조 (0) | 2023.10.02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