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34)
도슐랭스타
사칙 연산자 + : 더하기 - : 빼기 * : 곱하기 / : 나누기 나누기 연산자 % : 앞의 값을 뒤의 값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구한다. 증감 연산자 ++ : 변숫값을 1만큼 증가시킨다. -- : 변숫값을 1만큼 감소시킨다. 연산자와 피연산자 현재 연도 - 나이 + 1 에서 현재 연도, 나이, 1은 피연산자이고 -, +는 연산자이다. 증감 연산자 이해하기 var num1 = 1; var num2 = num1++ +5; // --> num1=2, num2=6 var num3 = num2--; // --> num2=5, num3=6 var num4 = --num3; // --> num3=5, num4=5 증감 연산자가 뒤에 있을 때 : 전체 수식의 처리가 끝난 후 적용된다. 증감 연산자가 앞에 있을 때 :..

기본형 number(숫자) : 따옴표 없는 숫자를 표기할 때 string(문자열) : 따옴표로 묶어 표기할 때 boolean(논리형) : 참이나 거짓을 가질 때 undefined : 변수만 선언하고 값을 정의하지 않아 자료형이 정해지지 않았을 때 null : 값이 유효하지 않을 때 복합형 array(배열) : 하나의 변수에 여러 값 저장할 때 object(객체) : 함수와 속성이 함께 표기될 때 typeof 연산자 변수 또는 값이 어떤 자료형인지 알고 싶을 때 사용 number(숫자) 자바스크립트에서 정수와 실수 모두 number로 취급한다 자바스크립트는 정수 16자리까지 표현할 수 있다 (넘어가는 순간 오류남) 0.1 + 0.2 = 0.30000000000000004

변수와 상수 변수(variable) : 변할 수 있는 값 상수(constant) : 변하지 않는 값 ex) 테어난 연도 = 현재 연도 - 나이 + 1 에서 태어난 연도, 현재 연도, 나이는 변수(변할 수 있는 값)이고 1은 상수(변하지 않는 값)이다 변수 선언 규칙 첫 글자는 반드시 문자나 언더바(_) 또는 달러 기호($)를 사용한다 이름은 의미 있게! - 이름을 아무 의미 없이 지으면 나중에 무슨 변수인지 알기 어렵다 여러 단어를 연결할 때는 카멜 표기법으로! ex) myName, typeAge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방법 변수를 선언하면서 저장하기 변수를 선언한 후 저장하기 var summer = "hot"; //변수를 선언하면서 값을 저장 var winter; winter = "cool"; //변수를..

자바스크립트 소스 작성 규칙 대소문자를 구별한다 들여 쓰는 습관을 들인다 (소스를 공유하거나 오류를 수정할 때 편함) 문장 끝에 " ; " 을 찍는다 (문장마다 줄 바꿈을 한다면 필요 없지만 한 줄로 적는다면 꼭 필요함) 식별자 규칙 식별자 : 변수, 함수, 속성 등을 구분하기 위해 부여하는 이름 첫 글자는 반드시 영문자나 " _ " 또는 " $ " 로 시작해야한다 공백, 예약어 사용X " - " , " _ " 사용O 카멜 표시법 ex) myAge, myNum 주석 메모할 때 사용 " // " 나 " /* "과 "*/"을 사용한다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HTML 안에 자바스크립트 소스 작성하기 로 적는다 //js폴더에 저장한 dodo.js 파일을 연결한 것 밑의 내용들은 크롬 브라우저의 콘솔 도..

조건문 - if,else,elif if문 if 조건식 : 조건식이 참이면 실행함 num = 15 if (num > 10): print("num은 10보다 크다. ") #조건식이 참이면 실행되는 실행문 #출력->num은 10보다 크다. else문 else: if문이 성립하지 않는 모든 경우에 실행함 num = 5 if (num > 10): print("num은 10보다 크다. ") else: print("num은 10보다 작거나 같다. ") #출력->num은 10보다 작거나 같다. elif문 elif 조건식: elif = else if = ' 그렇지 않고 ~라면 ' if문 거짓일 때 또 다른 조건문의 참, 거짓을 판별하고 실행됨 score = 85 if (score >= 90): print("A") e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