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네트워크 (39)
도슐랭스타
오류 제어(Error Control) 오류 : 외부 간섭(온도, 습도, 전자기)에 따른 전송 신호가 변형되는 것이다. 오류에 대한 탐지/검출(Detection)과 수정/복구(Correction)가 필요하다. 오류 검출 및 정정(FEC : Forward Error Correction) 패리티 비트(Parity Bit) - 뒤에 오류검사 비트를 붙여서 홀/짝 확인으로 오류를 검출한다. 블록 합 검사(BSC : Block Sum Check) - 홀/짝 맞아도 오류가 있을 수 있는 경우를 위해 사용 해밍 코드(Hamming Code) - 깨진 데이터의 위치를 찾는다. 순환 중복 검사(Cycle Redundancy Check) - 전체에서 확인한다. 역방향 오류 정정(BEC : Backward Error Corr..

계층(Layer) 개방형 시스템(Open System)을 위한 여러 부시스템(Sub-system)이 논리적을 구성되어 있다. 개방형 시스템 : 표준을 기본으로 서로 다른 시스템 사이에서도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것. 부시스템은 계층화된(layered) 순서로 정의되어 있다. 인터페이스(Interface)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 사이를 연결해 주는 기능을 한다. 객체(Entity) 시스템에서 각 계층의 일을 수행하는 기능 모듈의 실체이다. 프로토콜(Protocol) 자신과 동일한 계층에서 주고받는 통신이다. N 프로토콜 : N 객체 사이에서 일어나는 통신을 말한다.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 Protocol Data Unit 동일 프로토콜 계층 간 사용되는 데이터 단위이다. 프로토콜 제어 정보(PCI)..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표준화 정의를 위한 국제위원회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서로 호환되기 위한 표준을 정의한다.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가 있다. CCITT : 국제 전신 전화 위원회 OSI 참조 모델 OSI Reference Model (Open System Interconnection) 1960년대부터 데이터 통신의 개념이 등장했다. 1970년대 독립적인 네트워크가 출현했다. 서로 다른 시스템 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표준의 필요성이 등장한다. ISO에서 데이터통신에 대한 모델을 규정했다.(1983) 7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진 모델이다. OSI 7계층의 데이터 전달 최상위 계층(7계층)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하위 계층으로 전달한다. 헤더정보..
통신 Communication 대화에는 송신자, 수신자, 메세지(대화내용)가 포함된다. 대화 불가 상태(통신 불가) 언어가 다를 경우 청자를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인 대화 방해되는 장애물(노이즈)가 있을 경우 컴퓨터 통신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전달되는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0과 1로 구성된다. 통신 거리에 따라 종단장치(DTE) 사이에 다양한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정상적인 전송&처리를 위해서 서로 약속(규칙)이 필요하다. 통신 프로토콜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처리를 위해서 미리 약속한 전송(통신) 규약(규칙)이다. 통신을 통제하는 규칙들을 규정한다. 프로토콜의 기본요소 구문(Syntax) 데이터의 형식(어떻게 데이터가 표현되어야 하는지), 부호화(신호 방식 및 정의) 등을 포함한다. 객체 간의 데이터의 ..
다중화 전송 Multiplecing, 다중화기=MUX(Multiplexer) 하나의 통신로를 여러 단말기가 동시에 이용한다. 하나의 전송로에 여러 데이터를 같이 보낸다. (컴퓨터-고속의 대용량 회선-다중화 장치) 로 구성되어 있다. 전송로의 이용 효율이 매우 높다. 설치 공사비가 적고 유지보수가 용이해서 경제적이다. 종류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시분할 다중화(TDM) 역다중화(DMUX) 파장 분할 다중화(WDM) 기타 : 코드 분할 다중화(CDMA) 1.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Multiiple Access 하나의 전송로를 여러 개의 주사푸로 다수의 단말이 사용한다.(브로드밴드) 채널 간에 상호 간섭을 막기 위해 보호 대역이 필요하다..
1. 점-대-점 회선 방식(Point-to-Point Line) 전용회선으로 직접 연결한다. 두 장치 간 전용 링크(Link)를 쓴다. 고속 통신과 처리에 이용한다. FSB(Front-Side Bus), BSB(Back-Side Bus) 장점 빠른 응답 단점 회선 구축에 많은 비용이 든다. ex.컴퓨터와 주변기기 2. 다지점 회선 방식(Multipoint Line) Multipoint Line / Multidrop Line 전송회로 1개를 여러 단말기가 공유한다. 채널을 할당하여 시간적으로 분리한다. ex. 허브를 통한 주변 장치 연결 관련기술 폴링(Polling) 단말기 --(데이터)--> 컴퓨터 컴퓨터는 단말기에 감시 신호를 보내서 송신 데이터가 있는지 주기적으로 검사한다. 선택(Selection) ..
아날로그 신호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전자기파이다.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자연스럽다. 곡선형태이다. 장점 무한한 정보표시 단점 감쇠현상이 있다.(거리에 따라) 외부 간섭에 약하다. 디지털 신호 손가락(Digit)에서 유래했다. 0과 1로 구분하며 이산적인 신호이다. 정해진 전압 값이 있다. 인공적이다. 장점 데이터 무결성 보장 안정성 증대(암호화 가능) 낮은 오류율 부호화와 변조 부호화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 전송할 데이터를 매체 내 전달 신호로 변환하는 것. 부호 : 정보를 1byte의 2진수로 표현하는 것. 부호체계 문자는 대부분 ASCII 규격을 많이 쓴다. 기타 수는 각 수 체 dodo5517.tistory.com 디지털 전송과 아날로그 전송의 간단한 내용↑ PCM 펄스 부호 변조, Pulse C..
꼬임선 케이블 TP(Twisted Pair cable) 두 가닥을 꼬아서 여러 다발을 묶은 후 보호용 피복선을 입힌다. 전자기 간섭(유도) 현상을 줄이려고 꼬아서 사용한다. 전자기 간섭을 차단하는 피복방법에 따라 분류한다. UTP 케이블 배열 배열 정보를 의미하는 케이블 타입이 기록된다. Category 5/6의 경우 4쌍의 꼬임선이 있고 총 8가닥으로 구성되어있다. T-568A와 T-568B가 있다. 케이블 카테고리 Category 1 : 전화 통신 Category 2 : 최대 4Mbps Category 3 : 10Mbps-T, 10Mbps Category 4 : 토큰링 네트워크 16Mbps Category 5 : 100Mbps Category 6 : 1Gbps 1. UTP 케이블 UTP(Unshiel..
이더넷 Ethernet IEEE 802.3 CSMA/CD 다양한 규격이 존재한다. 근거리 유선 네트워크이다. 버스형-16Mbps↓, 성형-100Mbps↑ 장점 설치 비용이 저렴하다. 관리가 쉽다. 구조가 간단하다. 단점 다량의 노드가 존재하면 출돌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 충돌이 많아지면 지연이 발생한다. NIC Network Interface Card 전송 매체에 접속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OSI 계층 모델에서 1&2계층의 프로토콜을 처리한다. NIC, NIU, LAN 카드/보드, 네트워크 어댑터라고도 한다. LAN 카드의 속도 표시 단위는 bps 이다.
IP 주소 네트워크 상에서 기기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주소이다. OSI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된다. IP 주소는 전 세계적으로 고유해야 하므로 모든 컴퓨터나 장치가 서로 다른 IP 주소를 가진다. IPv4 주소는 32비트 숫자로 구성된다. IPv6 주소는 128비트 숫자로 구성된다.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로 도입된 주소이다. Port 주소 한 기기 내에서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한다. OSI 전송 계층에서 사용된다. IP 주소와 Port 번호의 차이점 쉽게 비유를 하자면 IP주소는 집을 찾는 주소이고 Port 번호는 집 안에 있는 방 번호 같은 느낌이다! (하나의 컴퓨터에서 여러 서버가 돌아가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구분하기 위한 Port 번호가 필요하다.) 포트 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