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35)
도슐랭스타
폴링(Polling)CPU가 직접 I/O 장치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내보내는 방식.CPU가 I/O 장치의 상태를 주기적을 검사함. (방문 서비스 느낌)단점 - 반복적인 모니터링은 작업 효율을 낮아짐.인터럽트(Interupt) 방식I/O 관리자가 대신 입출력을 해줌.CPU의 작업, 저장장치의 데이터 이동을 독립적으로 함.장점 - 시스템 효율이 높아짐, CPU가 다른 일을 할 수 있음.인터럽트(Interupt)I/O 관리자가 CPU에 보내는 이벤트 신호.인터럽트 번호 - CPU가 구분을 위해 사용함.인터럽트 벡터 - 여러 개의 인터럽트를 하나의 배열로 만듦 => 한꺼번에 처리 가능.I/O 관리자의 접근법직접 메모리 접근(DMA : Direct Memory Access) - I/O 관리자가 CPU의 허락 없..
버퍼(Buffer)속도 차이가 있는 두 장치 사이에서 그 차이를 완화함.일정량의 데이터를 모아 잠시 버퍼에 옮겨두어서 속도의 차이를 완화함. (잠시 보관)스풀(Spool)CPU와 입출력장치가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고안도니 소프트웨어적인 버퍼이다.ex. 프린트 스풀러캐시(Code)메모리와 CPU 간의 속도 차이를 완화하기 위해 메모리의 데이터를 미리 가져와버퍼의 일종으로 CPU가 사용예상되는 데이터를 미리 가져다둠. 캐시 히트(Cache Hit) : 캐시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음.캐시 미스(Cache Miss) : 원하는 데이터가 없음. -> 메모리로 가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아옴.캐시 적중률(Cache Hit Ratio) : 캐시 히트가 되는 비율.즉시쓰기(Write Through)캐시의 데이터 변경 ->..
컴퓨터의 구조필수 장치CPU, 주 메모리주변 장치입력장치, 출력장치, 저장장치클록(Clock)클록이 일정 간격으로 틱(tick)을 만들면 거기에 맞추어 CPU 안의 모든 구성 부품이 작업을 수행함.틱(tick) = 펄스(pulse) + 클록 틱(clock tick)헤르츠(Hz)클록틱이 발생하는 속도의 단위.주방으로 비유한다면 CPU=요리사, 메모리=도마, 저장장치=보관장치CPU 구성산술논리연산장치(ALU) : 데이터의 논리 연산을 수행함.제어장치(Control Unit) : CPU에 작업을 지시함.레지스터(Register) : CPU 내에 데이터를 임시로 보관함.버스(Bus) : CPU 내 구성요소들과 데이터 전달을 위한 통로임.메모리휘발성 메모리(RAM : Random Access Memory)DRAM..
COUNT선택한 칼럼의 NULL을 제외한 행의 개수를 구함.SELECT COUNT(column1)FROM table_name;AVG선택한 칼럼의 평균을 구함.숫자인 값만 연산 가능.NULL값은 무시함.SELECT AVG(column1)FROM table_name;SUM선택한 칼럼의 합을 구함.숫자인 값만 연산 가능.SELECT SUM(column1)FROM table_name;MIN/MAX선택한 칼럼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함.숫자가 아닌 값에도 연산이 가능.#MINSELECT MIN(column1)FROM table_name;#MAXSELECT MAX(column1)FROM table_name;
ORDER BY 조회한 테이블을 정렬할 때 사용. 기본값=오름차순=ASC 내림차순=DESC 정렬 기준을 여러 개 설정하고 싶다면 ","를 사용. #오름차순 #1 SELECT column1 FROM table_name ORDER BY column1; #2 SELECT column1 FROM table_name ORDER BY column1 ASC; #내림차순 SELECT column1 FROM table_name ORDER BY column1 DESC; #정렬 기준 여러 개 #columm1의 값이 같으면 column2로 정렬 SELECT column1 FROM table_name ORDER BY column1 ASC, column2 DESC;
넌클러스터 방식 인덱스와 데이터들 목록이 따로 존재하여 인덱스를 찾고 그 인덱스로 값을 찾아가는 방식. 클러스터 방식 B-Tree의 (인덱스)말단에 바로 데이터를 정렬해두는 방식.
Key(Primary, Unique, Foreign, Index)들은 여러 개의 속성들을 묶어서 키로 만들 수 있음. Primary Key #테이블 생성할 때 설정 CREATE TABLE table_name( column1 datatype NOT NUL, column2 datatype NOT NUL, CONSTRAINT key_name PRIMARY KEY (column1, column2) ); #이미 만들어진 테이블 수정 ALTER TABLE table_name ADD CONSTRAINT key_name PRIMARY KEY (column1, column2); Foreign Key #테이블 생성할 때 설정 CREATE TABLE table_name( colmun1 datatype, column2 dat..
커널(Kernel)운영체제의 핵심(Core)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저장장치 관리 등 운영체제의 필수 기능을 함.인터페이스(Interface)커널 사용자커널에 사용자의 명령 전달하고 실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GUL (Graphical User Interface): 그래픽 기반CLI(Command Line Interface) : 텍스트 기반시스템 호출(System Call) '커널'이 제공하는 시스템 자원의 사용과 연관된 함수.커널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응용프로그램이 커널 영역에 진입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다른 방법으로 커널에 들어오지 못함.)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응용프로그램이커널에게 접근하기 위한 수단컴퓨터자원의 효율적인 보호ex. 커피 머신을 모두가 이용하면 기계의 수명(자원)이 줄어..
INDEX 인덱스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대한 검색 성능의 속도를 높여주는 자료 구조임. 인덱스가 생성된 특정 column을 정렬한 상태로 정리해 검색 성능을 높임. KEY 특정 레코드를 식별할 때 사용하는 속성 or 속성의 집합 한 테이블 안에 같은 모든 속성이 일치하는 레코드는 존재할 수 없음. Primary Key(기본키), Unique Key(유니크키), Index Key(인덱스키) Primary Key(기본키) 테이블에 딱 하나만! 존재할 수 있는 가장 기본이 되는 Key임. 특정한 테이블 or 레코드 or 튜플을 유익하게 구별할 수 있는 '고유식별속성'임. 다른 레코드 값과 '중복될 수 없고' 'NULL'일 수 없음. #테이블 생성할 때 기본키 설정 CREATE TABLE table_name(..
테이블 sql 구문 새 column 추가 ALTER TABLE table_name ADD column_name_datatype; //새 column 추가 column 삭제 ALTER TABLE table_name DROP column_name; //column 삭제 column 이름 변경 ALTER TABLE table_name RENAME column_name to new_name; //column 이름 변경 column datatype 변경 ALTER TABLE table_name MODIFY COLUMN column_name new_datatype; //column datatype 변경